본문 바로가기

커뮤니티

HOME>커뮤니티>금융TIP
대출업체가 모두 한 곳에, 대출나라!

커뮤니티

금융TIP

금융TIP 내용
연금수령시 꼭 알아두어야 할 사항 작성일: 2024. 06. 05 조회수: 880
작성자: 운영팀
▪ (사례1) 은퇴를 앞둔 A씨는 직장생활하면서 퇴직연금
(개인형IRP에 본인이 납입한 금액)과 ‘14년초에 가입한
연금저축을 통해 연금을 매월 120만원씩(연간 1,440만원)
받도록 계획하였는데, 이 경우 연금소득세는 어떻게 되는
것인지 궁금함

- 연간 연금수령액을 1,200만원 이하로 관리해야 세제상
유리합니다.

본인이 납입한 퇴직연금 및 연금저축에서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과 그 운용수익 등을 재원으로 받는 연금소득에 대해서는
①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과세되는 종합과세(6.6%~49.5%) 또는
②연금소득에 대해서만 별도의 세율로 과세되는 분리과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율의 연금소득세(3.3%~5.5%)로 분리과세가
가능하도록 연금수령기간 등을 조정하여 연간 연금수령액이
1,200만원을 초과 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세제상 유리합니다.


▪ (사례2) 은퇴를 앞둔 B씨는 연금저축계좌를 가입한 금융회사로
부터 최근 연금개시 신청자격이 된다는 안내를 받았는데, 퇴직
후에도 일정기간 동안은 다른 일을 해서 소득을 벌 수 있는
상황이라 연금개시를 신청해야 하는지 고민 중

- 55세 이후에도 소득 여력이 있다면, 가능한 한 연금수령
개시시점을 늦춰 보세요.

소득세법상 연금소득세는 연금수령시 가입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세율이 낮아지도록 되어 있는데, 연금수령시 나이가 55세 이상~
70세 미만이면 5.5%, 70세 이상~80세 미만이면 4.4%, 80세 이상이면
3.3%의 연금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매년 500만원씩 20년간 연금을 수령한다면, 연금개시
연령이 55세인 경우 연금소득세는 522.5만원인 반면, 65세인
경우에는 연금소득세가 440만원으로 산출됨을 알 수 있는데,
연금수령 개시 시점을 늦추는 것만으로도 82.5만원
(=522.5만원-440만원)을 절세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만 55세가 도달하였다고 하더라도 일을 계속할 수
있는 등 경제적 여력이 있다면, 가능한 한 연금수령 개시 시점을
늦추는 것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목록

질문과답변 787

질문과답변 더보기

TIP대출나라에 광고 중인 등록업체는 700개 이상이며 등록업체마다 기준과 상품, 금리, 상환기간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여러 업체와 상담해보시는게 유리합니다.

대출나라 이용안내